§ 보조지표 "볼린저밴드" (Bolliner band)?
볼린저밴드는 기존 지표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든 지표이다. 주가의 변동에 따라 상하밴드의 폭이 같이 움직이게 하여 주가의 움직임을 밴드 내에서 판단하고자 고안된 주가지표를 말한다. 볼린저밴드는 주가가 상한선과 하한선을 경계로 등락을 거듭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한다.
§ 볼린저밴드 구성
이 지표는 대부분의 유가증권가격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중간의 이동평균선(중심선)과 상단밴드(상한선) 그리고 하단밴드(하한선)의 세 개의 밴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평균선을 추세중심선으로 사용하며 상하한 변동폭은 추세중심선의 표준편차로 계산한다. 이 표준편차는 일정 기간의 가격에 대한 변동성 측정치이므로 가격변동이 심할 때에는 변동폭이 좁아지는 자기 조정 기능을 발휘한다.
- 볼린저밴드 삼선
- 중심선인 ‘20일 이동평균선’
- 중심선에서 ‘표준편차×2’를 더한 상한선
- 중심선에서 '표준편차×2’를 뺀 하한선
주가는 90% 이상 볼린저밴드 내에서 수렴과 발산을 반복하면서 움직이게 된다. 가격변동 띠의 폭이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크거나, 큰 상태에서 줄어들 경우에는 볼린저밴드를 매도와 매수가 과도하게 집중된 상황을 반영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 볼린저밴드 설정
적용기간 20은 20일 이동평균선을 중심선으로 하고,
승수 2는 표준편차 ×2 로 계산하고,
가격을 고, 저, 중가의 평균치를 활용하고,
이평방법은 단순 적용한다는 설정이다.
- 볼린저밴드 설정한 차트 보기
푸른색 선이 하한선이고, 붉은 색선은 상한선, 그 사이에 있는 선이 중심선이다. 그리고 중심선과 상한선 사이를 과매수 구간, 중심선과 하한선 사이를 과매도 구간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한선과 가장 멀어진 지점의 상한선을 터치하면 주가가 조정되고, 중심선과 벌어지면서 상한선과 가장 멀어진 지점의 하한선을 터치한 경우 다시 반등이 시작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럼 주식 매매 전략을 세워 볼 수 있지 않을까?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한선과 가장 멀어진 지점의 상한선을 터치
"매도 대응"
상한선과 가장 멀어진 지점의 하한선을 터치
"매수 대응"
- 볼린저밴드 설정변경
중심선이 되는 이동평균선을 조정할 수 있다. 중심선을 조정하면 이평선의 기준이 조정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 10 이평선을 기준으로 가격변동띠를 생성할 수 있다. 승수를 바꾸면 가격변동띠의 '폭'에 변화를 줄 수 있다.
각자의 지표 참고하는 방향에 따라 수치를 조절하면서 활용하면 된다.
§ 볼린저밴드 한계
주가 그래프를 보고 주식을 분석하는 기술적 분석가들이 가장 신뢰하는 지표이기도 하다. 볼린저밴드 설정에 필요한 데이터가 주가와 거래량, 그리고 변동성이다. 주가와 거래량으로 기술적 측면을 살펴볼 수 있고, 변동성에서 기업의 실질가치와 투자 심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둘을 결합한 지표로 '볼린저밴드'가 합리적인 투자결정의 지표가 된다고 보는 것이 기술적 분석가들의 주장이다.
하지만 차트 안에 설정된 지표로만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는 것 자체가 무리이며, 결국 개인 투자자들은 이런 식의 차트 분석(기술적 분석)을 통한 단기투자보다는 기업의 본질가치를 보고 (기본적 분석) 장기투자에 나서는 것이 좋다는 의견을 내세우기도 한다.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투자는
잃지 않으면 된다.
단,
개인의 이성적 판단으로
정당하게 하라.
'고.래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력 대책없는 초등 늘봄학교 지금 현장은? (60) | 2023.04.28 |
---|---|
"흑해 곡물협정"으로 주식시장이 반응했다. (76) | 2023.04.27 |
이벤트 뉴질랜드 자전거 여행갈래요? (99) | 2023.04.24 |
디지털운행기록장치 무료점검 받으세요. (24) | 2023.04.24 |
2023년 시험정보, 컴활1급, 시험일정, 시험연기, 환불 (34) | 2023.04.23 |
댓글